UNESCO (1980) - revised by Kim, Hee-Se (2002) | Recognition | 산림의 중요성과 관련된 여러 환경문제에 대하여 인식하여 감수성을 갖도록 돕는다. (Helping to recognize environmental issues related to the importance of forest and to learn sensibility) |
Knowledge | 산림에 대해 다양한 경험을 하고 관련된 환경문제를 이해하도록 돕는다. (Helping to experience forest and understand related environmental issues) |
Attitude | 산림의 가치를 스스로 터득하고 산림을 아끼는 마음을 갖게 함으로써 환경보호와 개선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도록 돕는다. (Helping to learn the value of forest so that they voluntarily participate in protecting and improving environment) |
Ability | 산림과 관련한 환경문제를 발견하고 해결하는데 필요한 기능을 익히도록 돕는다. (Helping to learn how to find and solve environmental issues relating to forest) |
Participation | 산림과 관련한 환경문제의 해결과제에 능동적이며 책임감있게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Providing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with responsibility in solving environmental issues relating to forest) |
National Environmental Education (2015) | Knowledge | 인간과 환경의 상호작용과 지속가능성을 이해하기 위해 환경관과 환경 윤리, 환경의 구성, 환경문제, 인간 활동과 환경 문제, 지속가능한 발전을 탐구하는 것 (To study environmental ethics, environment composition, environmental issues, human activity and environmental issues, and sustainable development in order to understand the interaction between human and environment and sustainability) |
Ability | 환경 현상을 탐구하는 방법과 심미안을 기르고,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과정에 참여하며 환경에의 영향을 기초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능력을 익힌다. (To cultivate aesthetic sense and ways to study environmental phenomena, participate in solving environmental issues, and learn basic abilities to evaluate effects on environment) |
Significance and attitude | 환경에 대한 감수성과 배려의 태도를 형성하고, 환경 보전을 실천하는 태도를 갖는다. (To establish sensibility, consideration, and attitude to preserve environment) |
National Forest Service (2007) | Focus on forest | 숲교육 자체가 목적 (Forest education is the purpose as itself) |
Relating to forest | 숲 교육 자체가 목적은 아니나 관련된 산림의 특성을 활용한 것 (Forest education may not be the only purpose, but the related characters of forest are utilized) |
Utility of forest | 숲 요소가 도구적으로 활용되어 숲 교육의 효과를 기대하기는 어려우나, 숲관련 교육 수준으로 확대 강화 가능한 것 (The effect of forest education can hardly be expected due to forest factors being used as means of, but still possible to be strengthened and extended to forest-relating education) |
Seo, K. Mi, Shim, K. C. and Yeo, S. H. (2009) | Knowledge | 환경 및 환경 문제의 사실, 개념, 일반화, 법칙 등 (Facts, concepts, generalization, laws, or any other things of environment and its issues) |
인간의 환경에 대한 책임 소재와 역할 (Human’s role and matter of responsibility about environment) |
자연 환경의 오염 실태, 자원, 인간과 생태계의 상호관계, 환경적으로도 건전하고 지속가능한 개발, 환경 정책, 친환경 행태 등 (Reality of environmental pollution, resource, mutual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ecosystem, ecologically sustainable development, environmental policy, eco-friendly activities, etc.) |
Ability | 개인과 사회 집단이 환경 문제를 해결하는 기능 (Ability of individual and social groups to solve environmental issues) |
환경 관련 자료 수집 및 해석 (Gathering and interpretation of the data relating to environment) |
환경 현상의 과학적 탐구 (Scientific research on environmental phoenomena) |
환경 관련 쟁점 해결을 위한 의사결정 (Decision making for resolution of environmental issues) |
Attitude | 친환경적 가치관 (eco-friendly values) |
인류 차원의 환경 공동체 의식 (environmental community spirit of humankind) |
환경 문제 해결 과정에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태도 (Voluntarily participate in resolution of environmental issues) |
환경 윤리(인류, 자연 생태 등의 존중) (Environmental ethnics like respecting humanities or nature) |
Participation | 개인과 사회 집단의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한 활동 (activities of individual and social groups for resolving environmental issues) |
지역의 환경 문제 인식을 위한 문제 사태에 참여 (Participating in recognizing regional environmental issues) |
환경을 개선하고 보전하기 위한 자발적 참여 (Voluntarily participating in preservation and improvement of environ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