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임업의 기반(foundation for local forestry) | 지역의 특성 고려(considering local characteristics) | 4 |
지역임업 주체 간 네트워크 구축(building a network between local forestry subjects) | 5 |
지역주민을 포함해 지역 내 다양한 이해관계자 참여 (participation of various stakeholders in the region, including local residents) | 5 |
지자체와의 연계 (linkage with local governments) | 1 |
지역임업 주체의 역량 (capacity of local forestry subjects) | 1 |
지역임업에서 이루어지는 활동 (activities in local forestry) | 산림, 임업관련 계획 수립 (establishing plans for forest and forestry) | 1 |
지역 산림 유지 및 관리 (maintaining and managing the local forest) | 3 |
지역의 산림자원을 생산하여 공급하고 지역에서 소비 (producing and supplying local forest resources and consuming them locally) | 6 |
산업 유형별 다양한 상품으로 판매, 유통 (selling and distributing various products by industry) | 3 |
지역에서 산림자원을 활용한 경제, 사회, 생태적 가치 창출 (creating economic, social and ecological values using forest resources within local) | 3 |
지역에서 산림자원을 활용한 경제적 가치 창출 (creating economic value using local resources) | 6 |
지역에서 산림자원을 통해 발생한 경제적 가치의 분배 (distribution of economic value generated through forest resources within local) | 1 |
지역에서 산림자원을 통해 부가가치 창출 (creating added value through forest resources within local) | 3 |
지역에서 산림자원을 통해 창출된 수익을 산림자원 유지 및 관리에 재투자 (reinvesting the profits generated through forest resources within local to maintaining and managing forest resources) | 1 |
지역임업의 목표 및 기대효과 (goals and expected effects of local forestry) | 지역활성화에 기여 (contributing to local revitalization) | 4 |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 (contributing to revitalizing the local economy) | 5 |
산림자원 선순환 (virtuous cycle of forest resources) | 5 |
지역사회의 지속가능한 산림경영 (sustainable forest management of local community) | 1 |
임업의 지속가능성 담보 (ensuring the sustainability of forestry) | 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