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의 요소 (Tangible elements) | 주체 (subjects) | 지자체 (local governments) | 11 |
임업 경영체 및 종사자 (foresty entities and workers) | 10 |
지역주민 (local residents) | 7 |
산림관련 단체-산림조합, 산주협의체, 시민단체 (forest related organizations-Forestry Cooperatives Federation, council of forest owners, civic group) | 6 |
산주 (forest owners) | 4 |
지역단위 중간지원조직 (local intermediate support organizations) | 5 |
국가 (nation) | 3 |
전문가조직 (expert groups) | 1 |
전문경영인 (professional entrepreneurs) | 1 |
국유림관리자 (national forest managers) | 1 |
소비자 (consumers) | 1 |
자원 (resources) | 지역 산림자원 (local forest resources) | 12 |
생산물 (products) | 재화와 서비스 (goods and services) | 2 |
무형의 요소 (Intangible elements) | 지역임업의 기반 (foundation for local forestry) | 네트워크 구축 (building networks) | 4 |
지역임업 주체 발굴 및 역량강화 (discovering local forestry subjects and strengthening their capabilities) | 3 |
지역산림계획 수립 및 지자체로의 권한 이양 (establishmetn of local forest plans and transfer of authority to local governments) | 2 |
지역 특성 (local characteristics) | 2 |
공무원 역량강화 및 지자체 시스템 개선 (strengthening civil servant’s capabilities and improving local government systems) | 2 |
지역 내 산림문화의 자리매김 (Establishment of forest culture within local) | 2 |
산주 참여를 위한 제도 보완 (supplementing the institutions for participation of forest owners) | 2 |
지역 산림자원 수요 및 공급에 대한 통계 (statistics on local forest resource demand and supply) | 1 |
국민의 눈높이 향상 (improving the public’s standards) | 1 |
인근 도시민 참여 (participation of near by city residents) | 1 |
주체의 특정 활동 (specifir activities of subjects) | 산림자원을 활용한 생산활동 (production activities using forest resources) | 2 |
지역자원조사 및 지역 콘텐츠 발굴 (researching local resources and discovering local contents) | 2 |
임업경영체의 지속적인 수익 창출 (constant profit creation of forestry entities) | 2 |
지자체의 의견 조율 및 리더십 발휘 (coordinating opinions and demonstrating leadership of local governments) | 1 |
지역임업 시스템 (local forestry system) |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참여 (participation of various stakeholders) | 3 |
거버넌스 구축 (building governance) | 3 |
효율적인 시장 시스템 구축 (building an efficient market system) | 1 |
합의된 비전 및 목표 수립 (establishing agreed upon vision and goals) | 2 |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의견수렴 (collecting opinions of various stakeholders) | 1 |
지역 산림자원 수요와 공급의 연계 (linking the supply and demand of local forest resources) | 1 |
결과 및 기대효과 (goals and expected effects) | 산림자원 순환경제 (forest resource circular economy) | 4 |
지역경제 활성화 (revitalizing local economy) | 3 |
지속가능한 산림경영 (sustainable forest management) | 2 |
지속가능한 지역발전 (sustainable local development) | 4 |
지역사회 활성화 (revitalizing local community) | 2 |
임업의 지속성 증진 (promoting sustainability in forestry) | 1 |
산림보호 (forest protection)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