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백두대간 중점보전종인 댕강나무의 식생 군집 및 환경인자 특성

김지동1, 이혜정2, 이동혁3, 변준기4, 박병주4, 허태임4,*https://orcid.org/0000-0002-4548-0699
Ji-Dong Kim1, Hye-Jeong Lee2, Dong-Hyuk Lee3, Jun Gi Byeon4, Byeong Joo Park4, Tae-Im Heo4,*https://orcid.org/0000-0002-4548-0699
Author Information & Copyright
1한국수목원정원관리원 사업관리실
2한국수목원정원관리원 사회적가치성과실
3한국수목원정원관리원 기획조정실
4국립백두대간수목원 보전복원실
1Division of Business Management, Korea Arboreta and Gardens Institute, Sejong 30129, Korea
2Division of Social Value Performance, Korea Arboreta and Gardens Institute, Sejong 30129, Korea
3Division of Planning and Coordination, Korea Arboreta and Gardens Institute, Sejong 30129, Korea
4Division of Forest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Baekdudaegan National Arboretum, Bonghwa 36209, Korea
*Corresponding Author E-mail: heoming@koagi.or.kr

© Copyright 2022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Received: Feb 03, 2022; Revised: May 08, 2022; Accepted: May 09, 2022

Published Online: Jun 30, 2022

요약

오늘날 급격한 기후 변화와 지속적인 인간의 개발 압력으로 멸종의 우려에 대한 심각성이 커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커다란 생태축인 백두대간 일대에서 출현하는 식물 가운데 중점적으로 보전해야할 식물 300종을 우선적으로 선정하였다. 그중 석회암 지대에 출현하는 댕강나무를 최우선 보전종으로 인식하고 이들의 식생 군집과 환경인자 특성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단양군, 영월군, 제천시 등 댕강나무 서식지 36개소를 조사지로 설정하고, 조사지 내 출현식물, 식생, 토양과 물리적 환경을 분석하였다. 조사지에서 특기할 만한 식물로 꽃꿩의다리, 덕우기름나물, 나도국수나무 등이 출현하였다. 산림식생 군락유형은 4개의 식생유형과 7개의 종군유형으로 구분되었다. 식생군집과 환경인자의 CCA 분석결과, 종합설명력 75.2%였으며 댕강나무 서식지의 환경적 특징이 세 그룹으로 구분되었다. 이 중에서 관계성이 있었던 환경인자는 해발고도, 경사, 유기물, 암석 비율, pH, 칼륨, 그리고 나트륨이었다. 조사지 내에서 꽃꿩의다리를 비롯하여 다수의 희귀식물과 특산식물이 확인되어 이들 집단을 서식지 수준에서 보전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출현 식물을 토대로 분석된 식생 유형 분류와 CCA 분석에서 댕강나무 서식지의 식생 집단의 고유성과 특이성이 재차 인정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가 댕강나무 자생지의 실증적 보전을 위한 과학적 근거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Abstract

Currently, species extinctions are increasing due to climate change and continued anthropogenic impact. We selected 300 species for conservation with emphasis on plants co-occurring in the Baekdudaegan area, which is a large ecological axis of Korea. We aimed to investigate the vegetation community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Zabelia tyaihyonii in the limestone habitat among the target plant species in the Baekdudaegan region to derive effective conservation strategies. In Danyang-gun, Yeongwol-gun, and Jecheon-si, we selected 36 investigation sites where Z. tyaihyonii was present. We investigated the vegetation, flora, soil and physical environment. We also found notable plants such as Thalictrum petaloideum, Sillaphyton podagraria, and Neillia uekii at the investigation sites. We classified forest vegetation community types into 4 vegetation units and 7 species group types. With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 (CCA) of the vegetation community and habitat factors, we determined the overall explanatory power to be 75.2%, and we classified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habitat of Z. tyaihyonii into a grouping of three. Among these, we detected a relationship between the environmental factors elevation, slope, organic matter, rock ratio, pH, potassium, and sodium. We identified numerous rare and endemic plants, including Thalictrum petaloideum, in the investigation site, and determined that these groups needed to be preserved at the habitat level. In the classification of the vegetation units analyzed based on the emerging plants and the CCA, we reaffirmed the uniqueness and specificity of the vegetation community in the habitat of Z. tyaihyonii. We anticipate that our results will be used as scientific evidence for the empirical conservation of the native habitats of Z. tyaihyonii.

Keywords: Baekdudaegan; endangered; representative plants; R statistics

서 론

산림생물자원을 보전하고 지속가능하게 활용하기 위한 노력은 국내외 없이 중요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생물다양성협약(CBD;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은 지난 20여 년간 많은 당사국의 생물다양성 정책 수립에 큰 방향을 제시하였고, 특히 멸종의 위기에 처한 생물종에 대한 보전 기능 강화를 꾸준히 요구하고 있다(CBD, 2010a, 2010b, 2020), 최근 제15차 생물다양성협약 총회를 통해 새로운 전략계획인 Post-2020 글로벌 생물다양성 프레임워크(Post-2020 GBF; Post-2020 Global Biodiversity Framework)가 수립되었고, 생물다양성의 위협요인을 저감하고 이들에 대한 지속가능한 이용을 중심으로 “자연과 조화로운 삶”이라는 비전에 대한 실천목표가 제시되기도 했다(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2022). 우리의 생물자원을 정확히 알고 그들의 지속가능한 보전과 활용을 파악하는 일이 더없이 중요해졌다는 것은 부정할 수 없는 현실이다.

한편, 세계자연보전연맹에서는 ‘중요생물다양성지역(KBAs; Key Biodiversity Areas)’ 지정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며 종 수준에서의 보전을 넘어 서식지 수준의 보전 체계 구축을 강조하고 있다(UNEP-WCMC and IUCN, 2018; UNEP-WCMC et al., 2020). 서식지는 특정 종의 동물, 식물 또는 기타 유형의 유기체가 서식하는 생태학적 또는 환경적 영역을 가리키며, 유기체가 살아가는 자연환경 또는 종 개체군을 둘러싸고 있는 물리적 환경이다(Dickinson, 1963; Abercrombie et al., 1966). 특히 백두대간의 아주 일부 지역에 분포하는 석회암지대에는 독특한 식물들이 모여 특이한 식생을 이루고 있다(Kim et al., 2021). 그러나 그 바탕을 이룬 모암이 우리 인간이 살아가는데 필요한 자원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개발의 압력에서 벗어나지 못한 채 훼손의 위협에 노출되어 있다. 생물다양성 감소의 주요 원인이 서식지 파괴와 서식지 질의 저하임을 고려할 때 생태계다양성을 유지하고 생태계의 질을 높게 유지하는 것은 생물다양성 보전의 기본이 된다(Krauss et al., 2009).

이에, 백두대간 일대에 분포하는 관속식물 중 보전이 필요한 대상을 파악하고 그들의 서식지 특성을 밝혀 보전전략을 수립하는 것은 백두대간의 실증적 보전을 이끄는 구체적인 방안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백두대간 일대에 분포하는 것으로 보고된 관속식물을 대상으로 보전 가치 평가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분류군을 선정하여 <백두대간 중점보전종>이라 명명하고(Appendix 1), 그중 보전이 우선시 되어야 한다고 판단한 댕강나무[Zabelia tyaihyonii (Nakai) Hisauti & H.Hara]의 식물 군집 및 서식지의 특성을 구명하고자 한다.

재료 및 방법

1. 연구 대상종 및 서식지 선정

백두대간 보호지역의 분포 식물 1,727종을 대상으로(Baekdudaegan Nationa Arboretum, 2020), IUCN 적색목록(IUCN, 2019), 북한 적색종 목록(Son, 2005), 환경부 지정 국가적색식물(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20), 기후변화 대응 적응식물 300(KFS, 2010), 한반도 북방계식물 적색자료집(Jeonbuk National University, 2011), 한반도 특산식물 360(Chung et al., 2017), 환경부 지정 고유식물(Hyun, 2020), 한국의 희귀식물(KNA, 2012a), 구계학적특정식물(Kim et al., 2019)에 근거하여 <백두대간중점보전종>을 선정하였다(Appendix 1). 그중 보전이 시급하다고 판단되는 댕강나무[Zabelia tyaihyonii (Nakai) Hisauti & H.Hara]를 대상으로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백두대간 중점보전중 가운데 본 연구를 통하여 최우선 보전종으로 제시하는 댕강나무[Zabelia tyaihyonii (Nakai) Hisauti & H.Hara]는 1921년 충북 단양군 매포면 어의곡리에서 정태현이 채집한 개체를 Nakai가 Abelia tyaihyoni로 발표하면서 국명을 ‘줄댕강나무’라고 기재한 종이다. 1926년 정태현은 황해도 맹산에서 채집한 개체를 과거에 단양에서 채집했던 줄댕강나무와 유사하나 식물체가 전체적으로 대형이고 꽃이 크다는 점을 들어 별도의 신종으로 발표하며 Abelia mosanensis로 기재하였고 국명을 ‘댕강나무’라고 기록하였다. 하지만 이들을 별개의 독립된 종으로 보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는 견해에 근거하여 지금은 두 종을 통합하여 인식한다(Sun, 1999).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 제시하는 가장 최근의 학명과 국명을 따라 ‘댕강나무(Z. tyaihyonii)’라고 표기하였다(KPNI, ver. 20220128).

댕강나무는 낙엽성 관목으로 강원도 영월군과 충청북도 석회암 지대에 자생하는 식물이며, 꽃이 화려하고 향기가 좋아서 정원소재로 잠재가치가 있는 종이기도 하다. 일제강점기 전후에 유럽에 도입된 것으로 추정하며 1989년에 미국에 도입된 기록이 있다(Shim and Seo, 1995). 댕강나무속 식물은 환경에 대한 적응력이 뛰어나 다양한 품종이 조경수로 개발되어 있다.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는 채광 산업에 따른 댕강나무의 서식지 파괴 문제가 끊임없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이들의 지속 가능한 보전을 위하여 구체적인 과학적 근거 마련과 더불어 현장에 적용이 가능한 실증적인 보전 전략 수립이 요구된다.

댕강나무 서식지의 식생군집 및 환경인자를 알아보기 위하여 강원도 영월군과 충청북도 석회암 지대 일대를 대상지로 선정하였다. 현장조사 수행 전에 내부에서 기존 자료 및 문헌에 표기된 댕강나무 분포지에 대해서 1차 검토를 거쳤으며, 이를 바탕으로 현장에서 털댕강나무와 댕강나무를 동정하여 털댕강나무로 오동정된 서식지는 제외하였다. 그 후, 석회암지대 댕강나무 서식지의 산림식생을 대상으로 관목형인 댕강나무의 생활형에 따라 2021년 5월부터 9월까지 영월 12개소, 단양 23개소, 제천 1개소로 총 36개소의 정방형 조사구(10 m×10 m)를 설치하여 식생조사를 실시하였다(Figure 1). 정방형 조사구는 산정, 산등성이, 사면, 계곡 등 지형적 요인을 고려하였고, 콤파스 측량 및 거리측정기(haglof vertex IV)를 이용하여 조사구를 설치하였다. 현장조사를 수행하기 전에 고해상도 영상정보를 판독하여 상관 층위가 동질성을 띄는 곳, 해발고도, 사면향, 미세지형 등을 고려하여 잠재 표본조사구를 선정하였다. 잠재 표본조사구와 현장조사 과정에서 추가된 표본조사구를 중심으로 생태학자 및 식물분류 전문가들을 한 팀으로 구성하여 식생조사를 수행하였다.

jksfs-111-2-201-g1
Figure 1. Location of the study site in Danyang-gun, Yeongwol-gun, and Jecheon-si.
Download Original Figure
2. 조사 및 분석 방법
1) 식생조사 및 군락유형 분류

식생조사는 조사구 내에 출현하는 모든 유관속 식물종에 대하여 Braun-Blanquet 식생조사 방법의 군도 및 우점도를 합산한 등급을 활용하였다(Braun-Blaunquet, 1964). 군도(sociability)는 종 개체의 집합 혹은 이산의 정도 생육상태를 판정하여 기록하였다. 우점도(dominance)는 조사구 내 출현하는 모든 종의 피도(coverage)와 개체수(abundance)를 조합하여 양적상태를 판정하여 기록였다. 환경인자는 Garmin 64s GPS 장비를 사용하여 경위도 좌표, 사면향, 해발고도 등을 기록하였다. 경사도는 대상지역의 표고자료를 이용하여 ArcGIS 10.8의 3차원 분석도구에서 표고값을 갖는 Raster 파일을 추출한 뒤 경사분석도를 생성하여 수치화시켰다. 정준대응분석(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 CCA)을 위해 물리적환경은 환경자료, 식물의 피도는 식생자료로 활용하였다.

식생조사구 내 관속식물의 목록은 Engler의 분류체계(Melchior, 1964)를 따라 작성하였고 과(Family) 내에서는 속명과 종명의 알파벳순으로 배열하였다. 학명과 국명의 사용은 국가표준식물목록(KNA, 2020)을 따랐으며 작성된 관속식물목록을 바탕으로 한반도특산식물목록(Chung et al., 2017), 희귀식물(KNA, 2009), 특기할 식물(Kim et al., 2021) 등을 정리하였다.

대별종군과 식별종군의 용이한 파악을 위하여 PC-ORD version 5.1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Hill(1979)의 TWINSPAN (Two-Way Indicator Species Analysis)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어서 Ellenberg(1956)가 고안한 표조작법(tabulation method)에 따라 여러 단계의 표조작 과정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상재도로 나타낸 식별표를 작성하여 군락유형과 식생단위를 결정하여 최종적으로 식생 유형을 분류하였다.

2) 댕강나무 서식지 내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

생육 특성을 구명하고자 댕강나무 식생 조사지 내 토양의 이화학적 분석을 진행하였다. 각 조사구의 토양 단면 상층에 쌓인 유기물을 완전히 제거한 후 약 10~20 cm 이내 깊이의 토양에서 400 cc의 코어샘플러로 시료를 채취하였다. 토양 분석은 물리성 분석과 화학성 분석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물리성 분석에서 입도분석은 Hydro-meter 법을 이용하였으며, 2 mm 토양 채반을 이용하여 여과된 모래를 석력 함량 분석에 이용하였다. 화학성 분석에서 산도 분석은 pH-meter를 이용하였으며, 원소분석기법에 근거하여 유기물 함량을 분석하였다. 치환성양이온 함량은 원자흡광광도법과 유도결합플라즈마 발광광도법을 병행하여 분석하여 총 4가지 항목(마그네슘, 칼륨, 칼슘, 나트륨)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전기전도도는 EC-meter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치환성 알루미늄 분석은 1 M의 염화칼륨을 침출하여 유도 플라즈마 발광광도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토양이화학적 특성은 환경자료로 활용하였다.

3) 댕강나무 서식지의 식생 군집과 환경인자와 상관성

정준대응분석(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 CCA)은 생태학에서 환경의 구배(gradient)에 따라 생물의 종들이 단봉형의 모양으로 서식할 때 사용되는 직접 방향성 분석의 종류 중 하나이다(Whittaker, 1974). 정준대응분석은 설명할 수 있는 이론은 다양하게 존재하며, 해당 이론들은 유도방법에서의 차이가 존재하나 서로 같은 분석결과를 나타낸다. 정준대응분석을 시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은 다양하게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통계학에서 많이 사용되는 R 3.6.3 프로그램(R core Team, 2020)을 이용하여 생태학적으로 설명되는 가중주성분분석을 토대로 한 패키지 ‘vegan’의 함수를 통해 식생자료와 환경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 및 고찰

1. 석회암지대 댕강나무 서식지 내 동반 출현식물
1) 전체 출현 식물

댕강나무 조사지 36개소에서 50과 109속 총 163 분류군의 관속식물이 확인되었다(Table 1). 각 조사 지점별 출현 식물의 목록은 부록 2에 나타냈다.

Table 1. Appearance vascular plants in the study site.

* Fam.: Family, Gen.: Genus, Sp.: Species, Subsp.: Subspecies, Var.: Varieties, For.: Forms.

Fam. Gen. Sp. Subsp. Var. For. Total Ratio (%)
Pteridophyta 1 1 1 1 0.6
Gymnospermae 2 4 5 5 3.1
Angiospermae 47 104 138 2 15 2 157 96.3
Dicotyledoneae 42 87 117 2 12 2 133 81.6
Monocotyledoneae 5 17 21 0 3 0 24 14.7
Total 50 109 144 2 15 2 163 100.0
Download Excel Table
2) 특기할 만한 식물

댕강나무 조사지 36개소에서 희귀식물과 특산식물은 총 12 분류군이 확인되었고 그 대부분의 식물이 석회암지대를 생육지로 삼는 식물로 분석되었다(Table 2). 최근 발표된 연구 결과(Kim et al., 2021)에 근거하여 석회암지대 지표식물로 인식되는 호석회종인 댕강나무, 석회암지대 극선호식물인 넓은잎제비꽃, 석회암지대 선호식물인 측백나무, 꽃꿩의다리, 지치 등이 확인되었다(Table 2, Figure 2, Appendix 2). 특히 단양 집단 10여 개소는 천연기념물 제 62호로 지정된 영천리 측백나무림과 인접해있고, 조사지 내에서 측백나무를 비롯하여 다수의 희귀식물과 특산식물이 확인되어 이들 집단을 서식지 수준에서 보전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하였다. 외래식물은 아까시나무와 미국쑥부쟁이 2 분류군이 확인되었다(Appendix 2).

Table 2. Notable plants in the study site.
Scientific name Korean name Rare plants1 Endemic plants2 Limestone plants3
Platycladus orientalis 측백나무 LC Comparative more claciphilous
Populus × tomentiglandulosa 은사시나무
Clematis brachyura 외대으아리
Thalictrum petaloideum 꽃꿩의다리 CR Comparative more claciphilous
Exochorda serratifolia 가침박달 LC Comparative more claciphilous
Neillia uekii 나도국수나무 DD Comparative more claciphilous
Viola mirabilis 넓은잎제비꽃 CR Superlative most calciphilous
Sillaphyton podagraria 덕우기름나물
Lithospermum erythrorhizon 지치 LC Comparative more claciphilous
Zabelia tyaihyonii 댕강나무 EN Claciphilous indicator
Lonicera subsessilis 청괴불나무
Hemerocallis hakuunensis 백운산원추리

1 Rare plants : ‘Creation and Furtherance of Arboretums Act’ proposed by Korea Forest Service and The Rare Plants(KNA, 2012a)

2 Endemic plants : ‘Creation and Furtherance of Arboretums Act’ proposed by Korea Forest Service and A check list of endemic plants on the Korean Peninsula(Chung et al., 2017)

3 Limestone plants : A checklist of vascular plants in limestone areas on the Korean Peninsula(Kim et al., 2021)

Download Excel Table
jksfs-111-2-201-g2
Figure 2. A representative plant of the limestone area that appeared in the study site.
Download Original Figure

선행연구에서는 한반도 석회암지대의 대부분은 탄산칼슘 성분을 갖는 퇴적암으로 우리나라의 화산암지대, 화강암지대, 변성암 지대와 다른 식생의 분포유형을 가지고 있는 생태적으로 매우 중요한 지역으로(Kim et al., 2005; Korea National Arboretum, 2012), 석회암지대 식물상의 고유성과 특이성을 강조한 바 있다(Kim et al., 2005; Ryu, 2016). 특히 석회암지대의 지표종과 극선호종은 자생지가 알려져 있지 않거나 2곳이나 3곳에 불과해 분포지 보호 및 모니터링이 필요한 분류군이라는 최근 연구 결과가 발표되기도 했다(Kim et al., 2021). 또한 석회암지대는 지역 고유성과 특이성이 잘 나타날 뿐만 아니라 희귀식물들의 분포 비율이 매우 높은 한반도 생태계의 핵심축 가운데 하나라는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일부 지역은 석회석 채굴로 인해 산지 정상부가 소실되어 생태학적 기능이 상실되었으며, 현재에도 채굴이 진행되고 있어 보존대책과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는 점을 지적하기도 했다(Kim et al., 2021). 이에, 댕강나무 36개소 조사지에 출현한 식물 조사 결과와 선행연구 결과들을 종합해서 분석한 결과, 댕강나무의 보전전략을 수립함에 있어서 종 수준에서의 보전에서 나아가 서식지 수준에서의 계획 수립이 필요하다는 것을 짐작해볼 수 있다.

2. 석회암지대 댕강나무 서식지의 산림식생 군락유형 분류

댕강나무 서식지 일대 산림식생의 식생유형 분류체계는 상위 단위인 떡갈나무-꽃꿩의다리군락군으로 분류되었다. 떡갈나무-꽃꿩의다리군락군은 왕느릅나무-산박하의 1개 군락, 개박달나무군, 회양목-큰기름새군의 2개 군, 최종 하위 단위는 야광나무-둥근털제비꽃소군, 개박달나무전형소군, 측백나무소군, 회양목-큰기름새전형소군의 4개 소군으로 분류되어 총 4개의 식생 유형이 확인되었다(Table 3). 종군유형은 종군 7의 수반종군을 포함하여 총 7개의 종군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종군 1의 떡갈나무-꽃꿩의다리군락군의 표징종과 식별종은 떡갈나무, 물푸레나무, 댕강나무, 굴참나무, 노간주나무, 광대싸리, 당조팝나무, 좀풍게나무, 꽃꿩의다리, 가는잎그늘사초, 갈퀴꼭두서니, 구절초로 모두 12종의 구성종에 의해 구분되었다. 전체 해발고도는 최소 199 m에서 최대 257 m까지 조사되었으며 대부분의 종조성적 지형적 특징이 선행연구 결과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Yun and Moon, 2009).

Table 3. Constancy table regarding forest vegetation in the study site.
Community group I
Community A
Group a b
Subgroup i ii iii iv
Vegetation unit 1 2 3 4
Elevation 257±14.8 225±33.3 209±20.8 199±5.2
Species richness 34±4.5 30±9.8 25±6.8 20±5.8
Sites 7 11 11 7
1. Chracter species and differential species of Quercus dentata-Thalictrum petaloideum community group;
Quercus dentata 떡갈나무 IV13 V+3 Vr3 II+2
Fraxinus rhynchophylla 물푸레나무 V13 V12 V+2 V+1
Abelia tyaihyoni 댕강나무 V35 V25 V24 V23
Quercus variabilis 굴참나무 III+1 IV+2 II+2 I++
Juniperus rigida 노간주나무 III+4 V13 IV+1 IIIr1
Securinega suffruticosa 광대싸리 III+2 IV+2 IV+1 IIIr+
Spiraea chinensis 당조팝나무 III+1 V+1 Vr2 IIIr+
Celtis bungeana 좀풍게나무 IV+1 I++ II+1 IIIr1
Thalictrum petaloideum 꽃꿩의다리 IV+1 V+1 IVr+ Vr1
Carex humilis var. nana 가는잎그늘사초 V+4 V14 III+3 III+3
Rubia cordifolia var. pratensis 갈퀴꼭두서니 III++ V+1 IVr+ II++
Dendranthema zawadskii var. latiloba 구절초 III++ III+1 IVr1 II++
2. Chracter species and differential species of Ulmus macrocarpa-Isodon inflexus community;
Ulmus macrocarpa 왕느릅나무 II12 V+2 I11
Pinus densiflora 소나무 I11 IV+3 I11
Zabelia biflora 털댕강나무 III13 II12 III+2
Exochorda serratifolia 가침박달 III12 I+2 III+1
Rhamnus yoshinoi 짝자래나무 IV+1 IV+2 III+1
Lespedeza bicolor 싸리 IV++ III+1 II++
Clematis patens 큰꽃으아리 IV++ II++ IIr+
Isodon inflexus 산박하 V+1 IV+1 III++
Polygonatum odoratum var. pluriflorum 둥굴레 III+1 III+1 II++
3. Differential species of Betula chinensis group;
Betula chinensis 개박달나무 III+3 I12
Quercus mongolica 신갈나무 II34 I+2
Prunus japonica var. nakaii 이스라지 V+1 I++
4. Differential species of Buxus koreana-Spodiopogon sibiricus group;
Buxus koreana 회양목 II+2 IV+3 III13
Neillia uekii 나도국수나무 I++ I++ III+2
Spodiopogon sibiricus 큰기름새 II+1 IVr1
Meehania urticifolia 벌깨덩굴 I++ IIIr+
5. Differential species of Malus baccata-Viola collina subgroup;
Malus baccata 야광나무 III+1
Lonicera praeflorens 올괴불나무 III+1
Viola collina 둥근털제비꽃 III+1 I++
   Sillaphyton podagrari 덕우기름나물 III++ I++
6. Differential species of Platycladus orientalis subgroup;
   Platycladus orientalis 측백나무 V+4
Platycarya strobilacea 굴피나무 III+2
7. Companion species group(omitted of 119 species);
Asparagus oligoclonos 방울비짜루 III++ II++ I++ Irr
Rosa multiflora 찔레꽃 I++ I++ I++ I++
Artemisia gmelinii 더위지기 I++ III+2 IIr+ IIr1
Calamagrostis arundinacea 실새풀 III+2 III+2 II++ II+1
Prunus mandshurica 개살구나무 III+1 III+1 II+2 II+3
Iris rossii 각시붓꽃 I11 I++ I++ Irr
Dictamnus dasycarpus 백선 V+2 II+1 I++ IIIr+
Viburnum carlesii 분꽃나무 IV+1 I+2 I++ I11
Rubus crataegifolius 산딸기 II++ II+1 I++ Irr
Euonymus alatus f. ciliatodentatus 회잎나무 IV+2 I++ III++ IIIr1
Download Excel Table
1) 식생유형 1. 개박달나무(Bc)군; 야광나무-둥근털제비꽃(Mb-Vc)소군

야광나무-둥근털제비꽃(Mb-Vc)소군은 7개 방형구이며, 떡갈나무-꽃꿩의다리군락군의 최상위 단위에서부터 그 하위단위인 종군 3의 야광나무, 올괴불나무, 둥근털제비꽃, 덕우기름나물의 출현으로 야광나무-둥근털제비꽃(Mb-Vc)소군으로 구분되었다. 본 단위는 종군 1, 종군 2, 종군 3의 식별종이 출현하고 있으며, 종군 4, 종군 6의 식별종은 출현하지 않았다.

본 단위에서 출현한 식물종의 우점도가 3 이상인 종은 떡갈나무, 물푸레나무, 댕강나무, 노간주나무, 가는잎그늘사초, 털댕강나무, 개박달나무, 신갈나무로 8종이 나타났고, 상재도가 III 이상의 광역 분포 특징을 보이는 종은 떡갈나무, 물푸레나무, 댕강나무, 굴참나무, 노간주나무, 광대싸리, 당조팝나무, 좀풍게나무, 꽃꿩의다리, 가는잎그늘사초, 갈퀴꼭두서니, 구절초, 털댕강나무, 가침박달, 짝자래나무, 싸리, 큰꽃으아리, 산박하, 둥굴레, 개박달나무, 이스라지, 야광나무, 올괴불나무, 둥근털제비꽃, 덕우기름나물로 25종이 나타났다.

본 식생단위는 해발고도 257±14.8 m로 모든 식생 유형 중에서 해발고도 범위가 가장 높았으며, 종 풍부도는 34±4.5로 가장 많은 종 수가 출현하는 유형이었다. 종 풍부도만으로 숲의 건강성을 진단할 수는 없으나 식생유형 1의 수반종군을 살펴보면 교란식물 또는 외래식물의 출현 없이 가장 높은 종 풍부도를 보였다. 또한, 식생 유형 간의 해발고도는 현저하게 차이가 나지 않으나 댕강나무의 서식지가 대부분 도로, 무덤, 군부대와 인접해 있어서 해발고도가 낮으면 낮을수록 인간에 의한 직접적인 영향을 많이 받고 있는 것을 관찬하였다. 따라서 해발고도가 비교적 높은 곳은 인간의 영향을 덜 받을 수 있기에 종 풍부도가 가장 높았고, 이에 따라 비교적 안정적인 산림 구조를 이루고 있는 곳은 댕강나무의 우점도가 가장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한반도 특산식물 중 석회암지대에서 출현하는 덕우기름나물은 식생 유형 분류에 있어 많은 해석이 가능한 부분임을 시사한다.

2) 식생유형 2. 개박달나무(Bc)군; 개박달나무(Bc)전형소군

개박달나무(Bc)전형소군은 11개 방형구이며, 떡갈나무-꽃꿩의다리군락군의 최상위 단위에서부터 그 하위단위가 존재하지 않아 종군 3의 개박달나무, 신갈나무, 이스라지의 출현으로 개박달나무(Bc)전형소군으로 구분되었다. 본 단위는 종군 1, 종군 2, 종군 3의 식별종이 출현하고 있으며, 종군 4, 종군 5, 종군 6의 식별종은 출현하지 않았다.

본 단위에서 출현한 식물종의 우점도가 3 이상인 종은 떡갈나무, 댕강나무, 노간주나무, 가는잎그늘사초, 소나무로 5종이 나타났고, 상재도가 III 이상의 광역분포특징을 보이는 종은 떡갈나무, 물푸레나무, 댕강나무, 굴참나무, 노간주나무, 광대싸리, 당조팝나무, 꽃꿩의다리, 가는잎그늘사초, 갈퀴꼭두서니, 구절초, 왕느릅나무, 소나무, 짝자래나무, 싸리, 산박하, 둥굴레로 17종이 나타났다.

본 식생단위는 식생유형 1과 유사한 종조성을 띄고 있으나 종군 5의 야광나무-둥근털제비꽃의 식별종이 출현하지 않는다. 본 단위는 왕느릅나무-산박하군락의 식별종 중에서 왕느릅나무, 소나무 등의 우점도와 상재도가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다. 식생유형 2에서도 댕강나무의 우점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어 다른 식생유형과 차별성을 충분히 고려해 볼 만하다. 숲의 수직구조로 보았을 때 상관을 이루는 떡갈나무, 왕느릅나무, 소나무 등에 의해서 피압을 적게 받는 것으로 보이며, 댕강나무가 중층을 이루는 관목성 수종인 것을 살펴볼 때 실생번식 또는 영양번식에 대해 식생 유형별 댕강나무의 생존전략에 대해 비교 검토해볼 필요가 있다.

3) 식생유형 3. 회양목-큰기름새(Bk-Ss)군; 측백나무(To)소군

측백나무(To)소군은 11개 방형구이며, 떡갈나무-꽃꿩의다리군락군의 최상위 단위에서부터 그 하위단위인 종군 6의 측백나무, 굴피나무의 출현으로 측백나무(To)소군으로 구분되었다. 본 단위는 종군 1, 종군 2, 종군 4의 식별종이 출현하고 있으며, 종군 3, 종군 5의 식별종은 출현하지 않았다.

본 단위에서 출현한 식물종의 우점도가 3 이상인 종은 떡갈나무, 댕강나무, 가는잎그늘사초, 회양목, 측백나무로 5종이 나타났고, 상재도가 III 이상의 광역분포특징을 보이는 종은 떡갈나무, 물푸레나무, 댕강나무, 노간주나무, 광대싸리, 당조팝나무, 꽃꿩의다리, 가는잎그늘사초, 갈퀴꼭두서니, 구절초, 털댕강나무, 가침박달, 짝자래나무, 산박하, 회양목, 측백나무, 굴피나무로 17종이 나타났다.

본 식생단위는 석회암지대에서 특징적으로 출현하는 회양목, 측백나무에 의해 다른 식생 유형과 차별성 있게 분류되었다. 측백나무(To)소군은 다방면의 생태학적 접근이 가능하다. 식생 유형 3의 식생조사 자료를 살펴보면 영월 2개소, 단양 9개소로 단양지역의 비율이 매우 높았다. 식생학적 관점에서 식별종에 의해 뚜렷하게 구분이 이루어지게 되면, 또 다른 관점에서 접근 해석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식물지리학적 관점으로 살펴보면, 특정 서식지에서 출현하는 식물은 다른 지역과의 차별성이 존재하게 되고, 이러한 것은 곧 그 지역의 고유성과 특이성을 대변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측백나무소군은 호석회성 식물종들을 구성종으로 출현하는 선행연구와도 일치한다(Choi, 2014).

4) 식생유형 4. 회양목-큰기름새(Bk-Ss)군; 회양목-큰 기름새(Bk-Ss)전형소군

회양목-큰기름새(Bk-Ss)전형소군은 7개 방형구이며, 떡갈나무-꽃꿩의다리군락군의 최상위 단위에서부터 그 하위단위가 존재하지 않아 종군 4의 회양목, 나도국수나무, 큰기름새, 벌깨덩굴의 출현으로 회양목-큰기름새(Bk-Ss)전형소군으로 구분되었다. 본 단위는 종군 1, 종군 4의 식별종이 출현하고 있으며, 종군 2, 종군 3, 종군 5, 종군 6의 식별종은 출현하지 않았다.

본 단위에서 출현한 식물종의 우점도가 3 이상인 종은 댕강나무, 가는잎그늘사초, 회양목으로 3종이 나타났고, 상재도가 III 이상의 광역분포특징을 보이는 종은 물푸레나무, 댕강나무, 노간주나무, 광대싸리, 당조팝나무, 좀풍게나무, 꽃꿩의다리, 가는잎그늘사초, 회양목, 나도국수나무, 큰기름새, 벌깨덩굴로 12종이 나타났다.

본 식생 단위는 해발고도 199±5.2 m, 종 풍부도 20±5.8로 모든 식생 유형 중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다른 식생 유형과 비교해보면 교목성 수종인 떡갈나무, 굴참나무 등 우점을 이룰 수 있는 수종은 우점도와 상재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또한 종 풍부도가 굉장히 낮게 나타나고 있어 단순한 구조의 숲으로 볼 수 있다. 식생 유형 4는 인간의 간섭이 가장 직접적으로 영향이 미치는 곳인 것으로 판단된다.

3. 석회암지대 댕강나무 서식지의 토양이화학적 특성

유기물의 함량은 최대 245.67 g/kg부터 63.27 g/kg까지 다양한 값으로 분석되었다(Table 4). 석력함량은 최대 67.24%부터 24.69%까지 나타났으며 토성은 양질사토, 사양토, 양토, 미사질양토, 식양토, 미사질식양토로 구분되어 나타났다. 토양 내 유기물과 밀접한 관계를 갖는 양분 유지 능력인 양이온치환용량(CEC)은 최대 48.78 cmolc/kg부터 최소 12.02 cmolc/kg까지 나타났다.

Table 4. Soil characteristics in the investigation site.
Division Organic (g/kg) Rock ratio (%) pH (1:5) EC (dS/m) CEC K Ca (cmol+/kg) Mg Na Al (㎎/kg)
Maximum 245.67 67.24 8.02 1.36 48.78 0.75 30.55 8.54 0.12 0.02
Average 178.30 46.60 7.68 0.69 28.57 0.36 17.79 5.12 0.05 0.01
Minimum 63.27 24.69 6.83 0.31 12.02 0.13 8.09 1.42 0.02 0.00
Download Excel Table

공시토양의 평균 산도는 pH 7.68, 가장 높은 토양의 산도는 pH 8.02로 모든 지점에서 토양의 pH는 6.83 이상을 보여 산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선행연구 결과에서 pH가 낮은 것과 유사하였다(Yun and Moon, 2009). 이는 우리나라 산림토양의 평균 pH 값으로 알려진 4.5~5.5의 범위에서 크게 벗어난 값으로, 댕강나무의 서식지인 석회암지대의 특성상 알칼리성 토양이 pH 값에 크게 관여하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일반적인 산림토양에서 산도가 높아 pH가 낮아지면 치환성 알루미늄이 증가하게 되어 식물생육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Kiraide, 2003; Poschenrieder et al., 2008; de Wit et al., 2010). 선행연구와 마찬가지로 본 연구에서 조사된 댕강나무의 서식지에서는 pH 수치에 반비례하여 토양의 치환성 알루미늄의 함량이 0.00부터 0.02까지 매우 낮게 나타났다(Table 4). 그러나 댕강나무의 출현 식생유형에서 살펴본 밀도와 군도는 최소피도 2, 최대밀도 5, 상재도 V를 보이며 왕성한 생육을 드러냈기에, pH 수치가 6.83~8.05의 범위 내에서 그 수치가 상대적으로 높고 낮음은 댕강나무 식생 군집의 생육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산림토양에서 치환성양이온은 일반적으로 칼슘>마그네슘>칼륨>나트륨 순으로 보고된 바 있다(Jeong et al., 2002). 이와 동일하게 본 연구의 댕강나무 자생지에서 치환성양이온은 칼슘>마그네슘>칼륨>나트륨 순으로 나타났고 그중에서도 칼슘 함량이 두드러지게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Table 4). 토양에서 치환성 형태로 존재하는 칼륨, 칼슘, 마그네슘, 나트륨의 함량은 나무의 성장에 영향을 준다고 평가된다. 일반적으로 산림토양에서 산성화의 결과로 칼슘과 마그네슘 함량이 줄어들고 무기 알루미늄 성분이 높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Hazlett et al., 2020), 석회암 지대에서 자라는 댕강나무의 특성상 본 조사지 내에서 분석된 칼슘과 마그네슘의 함량은 평균값이 각각 17.19 cmolc/kg과 5.12 cmolc/kg으로 상당히 높게 나타났다. 우리나라 평균 값인 2.44 cmolc/kg와 1.01 cmolc/kg에 비해 매우 높았다(Kim et al., 1999; Yun and Moon, 2009).

4. 석회암지대 댕강나무 서식지의 식생 군집과 환경인자의 상관성

본 연구에서 댕강나무 서식지의 식생 군집의 종, 환경과 관계를 정준대응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파악해보았다(Figure 3). 그 결과 CCA axis 1 43.6%, CCA axis 2 31.6%로 종합설명력 75.2%로 댕강나무 서식지의 환경적 특징이 세 그룹으로 구분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해발고도, 칼륨, 경사도에 영향을 받는 식생 군집, 유기물, pH에 영향을 받는 식생 군집, 그리고 나트륨에 영향을 받는 식생 군집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 중에서 관계성이 있었던 환경인자는 해발고도, 경사, 유기물, 암석 비율, pH, 칼륨, 그리고 나트륨으로 나타났다(Table 4). 이러한 결과는 Yun and Moon(2009)의 연구결과에서 pH, 칼륨, 나트륨, 해발고도, 경사 등이 유의하였던 환경인자로 CCA 결과와 유사하였다.

jksfs-111-2-201-g3
Figure 3. Correlation between species and environment in the investigation site.
Download Original Figure
Table 5. Post hoc test of habitat factors used in CCA.
Factors x2 F p-value
elevation 0.3030 2.1138 0.001***
slope 0.2245 1.5665 0.043*
aspect 0.2004 1.3981 0.07
organic matter 0.3130 2.1834 0.001***
rock ratio 0.2040 1.4234 0.028*
pH 0.2178 1.5195 0.022*
EC 0.1823 1.2721 0.057
CEC 0.1330 0.9277 0.586
K 0.2045 1.4266 0.022*
Ca 0.1631 1.1378 0.177
Mg 0.1676 1.1692 0.202
Na 0.2010 1.4021 0.036*
Download Excel Table

결 론

본 조사 결과 석회암지대 지표종인 댕강나무의 서식지 임분에서 다양한 희귀식물과 특산식물이 확인되었다. 특히 단양 집단 10여 개소는 천연기념물 제 62호로 지정된 영천리 측백나무림과 인접해 있고, 조사지 내에서 측백나무를 비롯하여 다수의 희귀식물과 특산식물이 확인되어 이들 집단을 서식지 수준에서 보전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출현 식물을 토대로 분석된 식생 유형 분류는 경험적 연구에 따라 석회암지대에서 관찰될 수 있는 야광나무-둥근털제비꽃소군, 개박달나무전형소군, 측백나무소군, 회양목-큰기름새소군으로 총 4개 소군으로 분류되었으며, 토양이화학적 분석과 함께 보면 칼슘 및 마그네슘 함량이 높은 염기성토양으로 석회암지대의 토양 특성을 반영하였다. 이들 식물군집은 대부분 석회암지대 특성에 따른 종조성적 특성을 보이고 있었으며, 이에 따라 CCA 분석에서도 댕강나무 서식지의 식생 집단의 고유성과 특이성이 재차 인정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댕강나무의 번식 특성상 기는줄기와 실생번식 모두를 택하는데 지역 간의 지리적 거리가 상대적으로 가깝기 때문에 특정 지역에 치우치지 말고 단양 일대 댕강나무 자생지를 종합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또한 이들은 종자 번식이 어려운 비진정종자(recalcitrant)로 인식되며, 추가적인 종자 구명 연구가 필요한 종이기도 하다.

한반도 석회암지대의 대부분은 탄산칼슘 성분을 갖는 퇴적암으로 이루어져 있고 우리나라의 화산암 지대, 화강암 지대, 변성암 지대와 다른 식생의 분포유형을 갖는 생태적으로 매우 중요한 지역이기에, 석회암지대 식물상의 고유성과 특이성은 기존 연구를 통해 강조된 바 있다(Kim et al., 2005; Ryu, 2016). 특히 댕강나무를 비롯한 석회암지대의 지표종은 자생지가 극히 제한되어 있기에 보호 및 모니터링이 필요하다는 최근 연구 결과가 발표되기도 했다(Kim et al., 2021). 하지만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일부 지역은 석회석 채굴로 인해 산지 정상부가 소실되어 생태학적 기능이 상실되어 있는 것을 본 연구의 현장조사에서 어렵지 않게 관찰할 수 있었다. 같은 맥락에서 이들 지역에 대한 보전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연구 결과가 최근에 발표되기도 했다(Kim et al., 2021). 본 연구 결과물이 댕강나무의 실증적 보전을 위한 과학적 근거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한국수목원정원관리원 국립백두대간수목원의 ‘중점보전종 보전방안 연구(KIAM-2021-KS-OB-02-01-02)’ 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되었습니다.

References

1.

Baekdudaegan National Arboretum. 2020. The Rare Plants of the Baekdudaegan Mountains. Korea Arboreta and Gardens Institute. pp. 10-56.

2.

Braun-Blaunquet, J. 1964. Pflanzensoziologie Grundzüge der Vegetation der Vegetation (3rd Ed.). Springer-Verlag. New York. pp. 865. (in German).

3.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CBD). 2010a. Strategic Plan for Biodiversity 2011–2020, including Aichi Biodiversity Targets.

4.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CBD). 2010b. Global Biodiversity Outlook (GBO-3), in: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5.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CBD). 2020. Zero Draft of the Post-2020 Global Biodiversity Framework.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6.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CBD). 2022. The UN Biodiversity Conference in Kunming/ www.cbd.int/live.

7.

Choi, B.K. 2014. Actual Vegetation of Dodamsambong (Scenic Site no. 44) and Danyangseokmoon (Scenic Site no. 45) in Danyang-gu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2(2): 116-123. (in Korean).

8.

Chung, G.Y., Chang, K.S., Chung, J.-M., Choi, H.J., Paik, W.-K. and Hyun, J.-O. 2017. A checklist of endemic plants on the Korean Peninsula.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The Korean Society of Plant Taxonomists 47(3): 264-288.

9.

de Wit, H.A., Eldhuset, T.D. and Mulder, J. 2010. Dissolved Al reduces Mg uptake in Norway spruce forest: Results from a long-term field manipulation experiment in Norway.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259(10): 2072-2082.

10.

Ellenberg, H. 1956. Aufgaben und Methoden der vegetationskunde. E. Ulmer. Stuttgart. pp. 136. (in German).

11.

Hazlett, P., Emilson, C., Lawrence, G., Fernandez, I., Ouimet, R. and Bailey, S. 2020. Reversal of forest soil acidification in the northeastern United States and eastern Canada: Site and soil factors contributing to recovery. Soil Systems 4(3): 54.

12.

Hill, M.O. 1979. TWINSPAN-A FORTRAN Program for Arranging Multivariate Data in an Ordered Two-Way Table by Classification of the Individuals and Attributes. Cornell University Press. Ithaca, New York. pp. 50.

13.

Hyun, C.W. 2020. Inventory of Endemic Species on the Korean Peninsula.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Incheon. (in Korean).

14.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IUCN). 2019.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Version 2021-3. https://www.iucnredlist.org.

15.

Jeonbuk National University. 2011. Red Data Book of Northern Plants in Korean peninsula. Ministry of Environment, Sejong, Korea. (in Korean).

16.

Jeong, J.H., Kim, Koo, K.S., Lee, C.H., and Kim, C.S. 2002. Physico-chemica properties of Korean forest soil by regions. Journal of Korea Fores Society 91: 694-700. (in Korean).

17.

Kim, C.-H., Moon, M.-O., Ahn, J.-K., Hwang, I.-C., Lee, S.-H., Choi, S.-S., Lee, J.-H., Bum, H.-M., Kim, C.-G. and Cha, J.-Y. 2018. Floristic Target Species (FT Species) in Korea.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Seocheon. pp. 112. (in Korean).

18.

Kim, J.H., Nam, G.H., Lee, S.B., Shin, S.K. and Kim, J.S. 2021. A checklist of vascular plants in limestone areas on the Korean Peninsula.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51(3): 250-293. (in Korean).

19.

Kiraide, T.B. 2003. Toxicity factors in acidic forest soils: Attempt to evaluate seperately the toxic effects of excessvie Al3+, and H+ and insufficient Ca2+ and Mg2+ upon root elongation. Soil Science 54(2): 323-333.

20.

Korea Forest Service (KFS). 2010. 300 Target Plants Adaptable to Climate Change in the Korean Peninsula. (in Korean).

21.

Korea National Arboretum (KNA). 2009. Rare Plants Data Book in Korea. Geobook. Korea. pp. 332. (in Korean).

22.

Korea National Arboretum (KNA). 2010. 300 Target Plants Adaptable to Climate Change in the Korea Peninsula. Theulmunhwa. Korea. pp. 492. (in Korean).

23.

Korea National Arboretum (KNA). 2012. The Plants in Limestone Areas. Geobook, Seoul, pp. 141. (in Korean)

24.

Korean Plant Names Index Committee (KPNI). ver.20220128. http://www.nature.go.kr/kpni

25.

Krauss, J., Alfert, T. and Steffan-Dewenter, I. 2009. Habitat area but not habitat age determines wild bee richness in limestone quarries. Journal of Applied Ecology 46(1): 194-202.

26.

Melchior, H. 1964. A.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12. Angiospermen, 2, 666.

27.

Poschenrieder, C., Gunsé, B., Corrales, I. and Barceló, J. 2008. A glance into aluminum toxicity and resistance in plants.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400(1-3): 356-368.
,

28.

R Core Team. 2020. R: A language and environment for statistical computing. Vienna, Austria: R Foundation for Statistical Computing. https://www.R-project.org/.

29.

Ryu, T.B. 2016. Vegetation on limestone in South Korea. (PhD dissertation). Keimyung University; Daegu. pp. 160. (in Korean).

30.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20. Red Data Book of Republic of Korea Vol. 5. Vascular Plants. 2020. Ministry of Environment, Sejong, Korea. pp. 128. (in Korean).

31.

Shim, K.K. and Seo, B.G. 1995. A study on the Korean Native Woody Plants of Trees in the North American Landscap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2(4): 37-62. (in Korean).

32.

Son, K.N. 2005. Red Data Book of DPR Korea (plant). MAB National Committe of DPR Korea, Botanical Institute, Biological Branch, Academy science, Pyongyang, DPR Korea. pp. 38-49. (in Korean).

33.

Sun, B.Y. 1999. Taxonomy and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the genus Abelia(Caprifoliacea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funded by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pp. 51-60. (in Korean).

34.

UNEP-WCMC and IUCN. 2018. Protected Planet: The Global Database on Protected Areas Management Effectiveness (GD-PAME), July 2018 Version, Cambridge, UK: UNEP WCMC and IUCN. Available at www.protectedplanet.net

35.

UNEP-WCMC, IUCN and NGS. 2020. Protected Planet Live Report 2020. UNEP-WCMC, IUCN and NGS: Cambridge UK: Gland, Switzerland and Washington, D.C., USA.

36.

Whittaker, R.H. 1967. Gradient Analysis Of Vegetation. Biological Reviews of the Cambridge Philosophical Society 42(2): 207-264.
,

37.

Yun, C.W. and Moon, H.S. 2009. Classification of forest vegetation type and environmental properties in limestone area of Korea.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43(2): 1-8. (in Korean).

Appendices

Appendix 1. The 300 Target Plant Species in the Baekdudaegan for Conservation Strategies.
No. Scientific name Korean name IUCN Grade DPRK Red book Target plants adaptable to climate change by KFS and Red data book by MoE Endemic by KFS and MoE Rare Plants by KFS Floristic Target Species by NIE
1 Hanabusaya asiatica 금강초롱꽃 EN VU IV
2 Forsythia ovata 만리화 EN VU V
3 Megaleranthis saniculifolia 모데미풀 EN EN III
4 Abies koreana 구상나무 EN LC III
5 Sinosenecio koreanus 국화방망이 EN IV
6 Zygadenus sibiricus 나도여로 CR V
7 Celtis edulis 노랑팽나무 DD V
8 Thuja koraiensis 눈측백 VU VU V
9 Fraxinus chiisanensis 물들메나무 EN III
10 Physocarpus amurensis 산국수나무
11 Parasenecio pseudotaimingasa 어리병풍 VU VU IV
12 Abeliophyllum distichum 미선나무 EN CR V
13 Viola websteri 왕제비꽃 EN V
14 Gypsophila pacifica 가는대나물 VU
15 Elsholtzia angustifolia 가는잎향유 VU IV
16 Picea jezoensis 가문비나무 LC VU III
17 Celtis choseniana 검팽나무 LC
18 Androsace cortusaefolia 금강봄맞이 EN V
19 Lonicera harai 길마가지나무
20 Neillia uyekii 나도국수나무 DD III
21 Iris odaesanensis 노랑무늬붓꽃 EN VU IV
22 Pinus pumila 눈잣나무 LC CR V
23 Juniperus chinensis var. sargentii 눈향나무 EN V
24 Sillaphyton podagrari 덕우기름나물 IV
25 Coreanomecon hylomeconoides 매미꽃 LC LC IV
26 Dracocephalum rupestre 벌깨풀 CR V
27 Veronica kiusiana var. diamantiaca 봉래꼬리풀 CR IV
28 Abies nephrolepis 분비나무 LC III
29 Leontopodium leiolepis 산솜다리 CR V
30 Leontopodium coreanum 솜다리 LC DD V
31 Thalictrum coreanum 연잎꿩의다리 EN V
32 Crataegus komarovii 이노리나무 EN CR V
33 Pterygocalyx volubilis 좁은잎덩굴용담 EN V
34 Taxus cuspidata 주목 LC VU
35 Zabelia tyaihyonii 댕강나무 EN V
36 Swertia wilfordii 큰잎쓴풀 CR V
37 Leontice microrhyncha 한계령풀 EN VU IV
38 Corylopsis gotoana var. coreana 히어리 EN LC IV
39 Ostericum maximowiczii 가는바디
40 Pseudostellaria sylvatica 가는잎개별꽃
41 Gentianopsis contorta 꼬인용담
42 Iris koreana 노랑붓꽃 EN CR V
43 Pulsatilla tongkangensis 동강할미꽃
44 Bupleurum euphorbioides 등대시호 EN VU IV
45 Saussurea insularis 백운취
46 Aconitum puchonroenicum 부전투구꽃
47 Lycopodium complanatum 비늘석송
48 Minuartia verna var. coreana 삼수개미자리
49 Pleurospermum camtschaticum Hoffm. 왜우산풀
50 Dracocephalum argunense 용머리 EN III
51 Viola biflora 장백제비꽃
52 Polygonatum acuminatifolium 종둥굴레
53 Corydalis hirtipes 털현호색
54 Gymnocarpium dryopteris 토끼고사리
55 Silene jenisseensis 가는다리장구채 EN IV
56 Eleutherococcus senticosus 가시오갈피 VU
57 Astilboides tabularis 개병풍 EN V
58 Ligusticum tachiroei 개회향 EN
59 Adiantum pedatum 공작고사리 VU
60 Gymnadenia cucullata 구름병아리난초 CR V
61 Saxifraga octopetala 구실바위취 EN IV
62 Saussurea diamantica 금강분취 IV
63 Trientalis europaea var. arctica 기생꽃 EN V
64 Pseudostellaria japonica 긴개별꽃 CR
65 Rhododendron micranthum 꼬리진달래 VU IV
66 Silene koreana 끈끈이장구채 CR III
67 Herminium monorchis 나도씨눈란 EN IV
68 Orchis cyclochila 나도제비란 VU
69 Iris uniflora var. caricina 난장이붓꽃 EN V
70 Lilium dauricum 날개하늘나리 CR V
71 Rhododendron aureum 노랑만병초 CR V
72 Anagallidium dichotomum 대성쓴풀 CR V
73 Cicuta virosa 독미나리 LC CR V
74 Daphne pseudomezereum var. koreana 두메닥나무 EN IV
75 Allium thunbergii var. teretifolium 둥근산부추
76 Oplopanax elatus 땃두릅나무 EN V
77 Codonopsis pilosula 만삼 VU III
78 Isopyrum manshuricum 만주바람꽃 EN III
79 Pedicularis mandshurica 만주송이풀 EN V
80 Arundinaria munsuensis 문수조릿대 V
81 Anemone narcissiflora 바람꽃 EN V
82 Tephroseris phaeantha 바위솜나물 EN V
83 Clematis calcicola 바위종덩굴 V
84 Dryopteris laeta 바위틈고사리 VU IV
85 Cypripedium macranthos 복주머니란 LC CR V
86 Epilobium angustifolium 분홍바늘꽃 EN IV
87 Forsythia saxatilis 산개나리 EN IV
88 Allium microdictyon 산마늘 CR IV
89 Paeonia obovata 산작약 CR V
90 Dipsacus japonicus 산토끼꽃 VU III
91 Allium linearifolium 선부추
92 Gymnadenia conopsea 손바닥난초 CR V
93 Lilium cernuum 솔나리 VU IV
94 Heloniopsis tubiflora 숙은처녀치마
95 Woodsia glabella 애기가물고사리 CR
96 Goodyera repens 애기사철란 CR V
97 Aletris glabra 여우꼬리풀 EN V
98 Luzula odaesanesis 오대산새밥
99 Adenophora racemosa 외대잔대
100 Vaccinium vitis-idaea 월귤 LC CR V
101 Microstylis monophyllos 이삭단엽란 CR IV
102 Astragalus koraiensis 정선황기 CR
103 Lychnis wilfordii 제비동자꽃 EN V
104 Crepidiastrum koidzumianum 지리고들빼기
105 Pseudostellaria okamotoi 지리산개별꽃 III
106 Carex sabynensis var. 지리실청사초
107 Filipendula formosa 지리터리풀 IV
108 Epipactis papillosa 청닭의난초 EN IV
109 Sedum latiovalifolium 태백기린초 IV
110 Saussurea grandicapitula 태백취 IV
111 Arctous ruber 홍월귤 CR V
112 Rosa koreana 흰인가목 EN IV
113 Rhododendron tschonoskii 흰참꽃나무 EN
114 Exochorda serratifolia 가침박달 LC III
115 Asperula lasiantha 갈퀴아재비 V
116 Rumex longifolius 개대황 DD
117 Moehringia lateriflora 개벼룩 LC IV
118 Lycopodium annotinum 개석송 LC IV
119 Scirpus sylvaticus var. maximowiczii 검은도루박이 DD IV
120 Asplenium scolopendrium L. 골고사리 LC
121 Gentiana triflora var. japonica 과남풀 LC
122 Scutellaria insignis 광릉골무꽃 LC LC III
123 Monotropa hypopithys 구상난풀 LC V
124 Parasenecio auriculata 귀박쥐나물 LC IV
125 Streptopus ovalis 금강애기나리 LC
126 Viola diamantiaca 금강제비꽃 LC III
127 Patrinia saniculaefolia 금마타리 LC LC III
128 Jeffersonia dubia 깽깽이풀 EN IV
129 Cephalanthera erecta var. subaphylla 꼬마은난초 VU
130 Syringa wolfii 꽃개회나무 LC IV
131 Iris ensata var. 꽃창포 LC
132 Lloydia triflora 나도개감채 LC LC
133 Monotropastrum humile 나도수정초 VU
134 Clintonia udensis 나도옥잠화 VU III
135 Eranthis stellata 너도바람꽃 LC III
136 Swertia tetrapetala 네귀쓴풀 III
137 Stewartia pseudocamellia 노각나무 III
138 Dryopteris tokyoensis 느리미고사리 VU IV
139 Botrychium virginianum 늦고사리삼 LC
140 Anaphalis sinica 다북떡쑥 CR III
141 Halenia corniculata 닻꽃 CR V
142 Cymbidium macrorrhizum 대흥란 EN V
143 Lonicera caerulea var. edulis 댕댕이나무 VU IV
144 Rodgersia podophylla 도깨비부채 LC IV
145 Adenophora grandiflora 도라지모시대 DD
146 Leontopodium leontopodioides 들떡쑥 VU III
147 Aristolochia manshuriensis 등칡 LC
148 Lilium callosum 땅나리 VU III
149 Rhododendron brachycarpum 만병초 LC III
150 Lilium distichum 말나리 LC III
151 Berchemia berchemiaefolia 망개나무 VU IV
152 Berberis koreana 매자나무 LC IV
153 Scopolia japonica 미치광이풀 LC III
154 Pogonia minor 방울새란 VU
155 Carex peiktusani 백두사초 DD III
156 Thymus quinquecostatus 백리향 VU III
157 Aconitum coreanum 백부자 LC CR V
158 Vexillabium yakushimensis 백운란 CR V
159 Paeonia japonica 백작약 VU
160 Epilobium palustre 버들바늘꽃 LC DD IV
161 Parasenecio firmus 병풍쌈 LC IV
162 Prunus choreiana 복사앵도나무 EN
163 Viburnum carlesii 분꽃나무
164 Tricyrtis macropoda 뻐꾹나리 LC
165 Saussurea calcicola 사창분취 IV
166 Goodyera schlechtendaliana 사철란 LC
167 Tephroseris flammea 산솜방망이 LC V
168 Fallopia koreana 삼도하수오 VU III
169 Epimedium koreanum 삼지구엽초 VU IV
170 Cynanchum inamoenum 선백미꽃 VU III
171 Primula modesta var. hannasanensis 설앵초 EN V
172 Cimicifuga heracleifolia var. bifida 세잎승마 VU IV
173 Clematis koreana 세잎종덩굴 LC III
174 Pinus densiflora 소나무 LC
175 Monotropa uniflora 수정난풀 LC
176 Pseudostellaria setulosa 숲개별꽃 IV
177 Bupleurum falcatum 시호 VU
178 Diarthron linifolium 아마풀 EN V
179 Mimulus tenellus 애기물꽈리아재비 VU IV
180 Trillium kamtschaticum 연영초 LC IV
181 Streptopus koreanus 왕죽대아재비 DD
182 Celtis koraiensis 왕팽나무 III
183 Tylophora floribunda 왜박주가리 VU
184 Ajuga spectabilis 자란초
185 Campanula glomerata var. dahurica 자주꽃방망이 VU III
186 Smilacina bicolor 자주솜대 VU III
187 Eriophorum gracile 작은황새풀 CR V
188 Pinus koraiensis 잣나무 LC
189 Abies holophylla 전나무 LC
190 Iris laevigata 제비붓꽃 DD V
191 Aristolochia contorta 쥐방울덩굴 LC
192 Eleutherococcus divaricatus var. chiisanensis 지리산오갈피 DD III
193 Lithospermum erythrorhizon 지치 LC
194 Asplenium trichomanes 차꼬리고사리 CR IV
195 Aconogonon microcarpum 참개싱아 IV
196 Salvia chanryoenica 참배암차즈기 LC LC IV
197 Paeonia lactiflora var. trichocarpa 참작약 EN IV
198 Lysimachia coreana 참좁쌀풀 LC IV
199 Gastrodia elata 천마 VU
200 Polygonatum stenophyllum 층층둥굴레 EN IV
201 Maianthemum dilatatum 큰두루미꽃 LC IV
202 Epilobium hirsutum 큰바늘꽃 LC CR V
203 Delphinium maackianum 큰제비고깔 VU IV
204 Viola albida 태백제비꽃 LC
205 Syringa patula 털개회나무
206 Lilium amabile 털중나리
207 Scrophularia koraiensis 토현삼 DD IV
208 Utricularia vulgaris var. japonica 통발 VU V
209 Anemone koraiensis 홀아비바람꽃 LC LC IV
210 Lysimachia pentapetala 홍도까치수염 VU IV
211 Sparganium erectum 흑삼릉 LC VU III
212 Lonicera tatarinowii var. leptantha 흰괴불나무 IV
213 Corydalis grandicalyx 갈퀴현호색 III
214 Peucedanum coreanum 두메기름나물
215 Lathyrus komarovii 선연리초 IV
216 Saussurea chabyoungsanica 자병취 IV
217 Aconitum austrokoreense 세뿔투구꽃 LC VU V
218 Chrysosplenium ramosum 가지괭이눈 IV
219 Lonicera chrysantha 각시괴불나무 IV
220 Spiraea trichocarpa 갈기조팝나무 IV
221 Rhamnus davurica 갈매나무 IV
222 Nepeta cataria 개박하 VU
223 Clematis serratifolia 개버무리 IV
224 Linum stelleroides 개아마 IV
225 Scrophularia grayana 개현삼 IV
226 Crypsinus hastatus 고란초 LC
227 Cirsium setidens 고려엉겅퀴 LC
228 Lonicera vesicaria 구슬댕댕이 III
229 Pedicularis resupinata var. umbrosa 그늘송이풀
230 Thalictrum rochebrunianum var. grandisepalum 금꿩의다리 III
231 Cephalanthera falcata 금난초 III
232 Iris minutiaurea 금붓꽃 VU
233 Sanguisorba longifolia 긴오이풀 IV
234 Enemion raddeanum 나도바람꽃 III
235 Waldsteinia ternata 나도양지꽃 IV
236 Vicia hirticalycina 나래완두
237 Penthorum chinense 낙지다리 LC
238 Carex lasiolepis 난사초 III
239 Vicia chosenensis 노랑갈퀴 III
240 Aconitum sibiricum 노랑투구꽃 CR
241 Cardamine komarovii 는쟁이냉이 III
242 Saussurea conandrifolia 담배취
243 Sorbus amurensis 당마가목 IV
244 Trigonotis icumae 덩굴꽃마리 LC
245 Rhamnus parvifolia 돌갈매나무 IV
246 Patrinia rupestris 돌마타리 IV
247 Asplenium rutamuraria 돌좀고사리 IV
248 Arisaema heterophyllum 두루미천남성 LC LC
249 Polygala sibirica 두메애기풀 IV
250 Anemone amurensis 들바람꽃 IV
251 Vicia bungei 들완두 IV
252 Carex thunbergii var. appendiculata 뚝사초 IV
253 Viburnum koreanum 배암나무 IV
254 Hemerocallis hakuunensis 백운산원추리
255 Inula salicina var. asiatica 버들금불초 VU
256 Aster koraiensis 벌개미취 LC
257 Sagittaria sagittifola 벗풀 DD
258 Weigela subsessilis 병꽃나무 LC
259 Polygala tatarinowii 병아리풀 IV
260 Acer ukurunduense 부게꽃나무 III
261 Salix rorida 분버들 III
262 Saussurea seoulensis 분취 LC
263 Ulmus pumila 비술나무 IV
264 Acer tegmentosum 산겨릅나무 IV
265 Mosla japonica 산들깨 VU
266 Carex curta 산사초 LC IV
267 Vaccinium hirtum var. koreanum 산앵도나무 III
268 Schizopepon bryoniaefolius 산외 IV
269 Rosa davurica 생열귀나무 IV
270 Scabiosa tschiliensis 솔체꽃 III
271 Saussurea eriophylla 솜분취
272 Scorzonera albicaulis 쇠채 VU
273 Carex longerostrata var. pallida 실피사초 IV
274 Carex stipata 양덕사초 IV
275 Ulmus macrocarpa 왕느릅나무 IV
276 Prenanthes ochroleuca 왕씀배 VU
277 Ranunculus franchetii 왜미나리아재비 IV
278 Aegopodium alpestre 왜방풍 IV
279 Clematis brachyura 외대으아리 III
280 Clematis fusca var. coreana 요강나물 III
281 Polypodium virginianum 좀미역고사리 IV
282 Lilium leichtlinii var. maximowiczii 중나리 IV
283 Carex okamotoi 지리대사초
284 Salix maximowiczii 쪽버들 IV
285 Trientalis europaea 참기생꽃 V
286 Saxifraga oblongifolia 참바위취 IV
287 Woodsia macrochlaena 참우드풀 IV
288 Acorus calamus 창포 LC LC
289 Lonicera subsessilis 청괴불나무 LC
290 Carex remotiuscula 층실사초 IV
291 Pogonia japonica 큰방울새란 VU
292 Platanthera sachalinensis 큰제비란 IV
293 Salix koriyanagi 키버들
294 Libanotis coreana 털기름나물 IV
295 Zabelia coreana 털댕강나무 III
296 Carex erythrobasis 한라사초
297 Clematis trichotoma 할미밀망 LC
298 Populus maximowiczii 황철나무 IV
299 Anemone reflexa 회리바람꽃 IV
300 Platanthera hologlottis 흰제비란 V
Download Excel Table
Appendix 2. The list of vascular plants investigated on Limestone areas.
Taxa Rare Endemic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Selaginellaceae 부처손과
Selaginella stauntoniana Spring 개부처손 0
Pinaceae 소나무과
Larix kaempferi (Lamb.) Carriere 일본잎갈나무 0 0
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 소나무 0 0 0 0 0 0 0 0 0 0 0
Cupressaceae 측백나무과
Juniperus chinensis L. 향나무 0
Juniperus rigida Siebold & Zucc. 노간주나무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Platycladus orientalis (L.) Franco 측백나무 LC 0 0 0 0 0 0 0 0 0 0 0
Juglandaceae 가래나무과
Platycarya strobilacea Siebold & Zucc. 굴피나무 0 0 0 0 0
Salicaceae 버드나무과
Populus × tomentiglandulosa T.B.Lee 은사시나무 0 0 0
Betulaceae 자작나무과
Alnus sibirica Fisch. ex Turcz. 물오리나무 0
Betula chinensis Maxim. 개박달나무 0 0 0 0 0
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 (Miq.) H. Hara 자작나무 0
Carpinus turczaninowii Hance 소사나무 0
Corylus heterophylla Fisch. ex Trautv. 개암나무 0 0 0 0 0 0 0 0 0 0
Fagaceae 참나무과
Quercus acutissima Carruth. 상수리나무 0
Quercus aliena Blume 갈참나무 0
Quercus dentata Thunb. 떡갈나무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Quercus mongolica Fisch. ex Ledeb. 신갈나무 0 0 0 0
Quercus variabilis Blume 굴참나무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Ulmaceae 느릅나무과
Celtis bungeana Blume 좀풍게나무 0 0 0 0 0 0 0 0 0 0 0 0 0 0
Celtis koraiensis Nakai 왕팽나무 0
Hemiptelea davidii (Hance) Planch. 시무나무 0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Rehder) Nakai 느릅나무 0 0 0 0
Ulmus macrocarpa Hance 왕느릅나무 0 0 0 0 0 0 0 0 0 0 0 0 0
Moraceae 뽕나무과
Morus alba L. 뽕나무 0
Morus bombycis Koidz. 산뽕나무 0
Morus mongolica (Bureau) C.K.Schneid. 몽고뽕나무 0
Caryophyllaceae 석죽과
Gypsophila oldhamiana Miq. 대나물 0 0 0
Lauraceae 녹나무과
Lindera glauca (Siebold & Zucc.) Blume 감태나무 0 0
Lindera obtusiloba Blume 생강나무 0 0 0 0
Ranunculaceae 미나리아재비과
Clematis apiifolia DC. 사위질빵 0
Clematis brachyura Maxim. 외대으아리 0 0 0 0
Clematis patens C.Morren & Decne. 큰꽃으아리 0 0 0 0 0 0 0 0 0 0 0 0
Clematis terniflora var. mandshurica (Rupr.) Ohwi 으아리 0 0 0 0 0 0
Thalictrum ichangense Lecoy. ex Oliv. 꼭지연잎꿩의다리 0
Thalictrum petaloideum L. 꽃꿩의다리 CR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Lardizabalaceae 으름덩굴과
Akebia quinata (Houtt.) Decne. 으름덩굴 0 0
Menispermaceae 방기과
Cocculus trilobus (Thunb.) DC. 댕댕이덩굴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Menispermum dauricum DC. 새모래덩굴 0
Cruciferae 십자화과
Cardamine fallax L. 좁쌀냉이 0
Crassulaceae 돌나물과
Hylotelephium viviparum (Maxim.) H.Ohba 새끼꿩의비름 0
Saxifragaceae 범의귀과
Mukdenia rossii (Oliv.) Koidz. 돌단풍 0 0
Rosaceae 장미과
Agrimonia pilosa Ledeb. 짚신나물 0
Duchesnea indica (Andr.) Focke 뱀딸기 0
Exochorda serratifolia S.Moore 가침박달 LC 0 0 0 0 0 0 0 0 0 0 0 0
Malus baccata (L.) Borkh. 야광나무 0 0 0
Neillia uekii Nakai 나도국수나무 DD 0 0 0 0 0
Potentilla chinensis Ser. 딱지꽃 0 0
Potentilla fragarioides var. major Maxim. 양지꽃 0 0 0 0 0
Potentilla freyniana Bornm. 세잎양지꽃 0
Prunus japonica var. nakaii (H.Lév.) Rehder 이스라지 0 0 0 0 0 0 0 0
Prunus mandshurica (Maxim.) Koehne 개살구나무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Prunus serrulata var. pubescens (Makino) Nakai 잔털벚나무 0
Rosa multiflora Thunb. 찔레꽃 0 0 0 0 0
Rubus crataegifolius Bunge 산딸기 0 0 0 0 0 0 0 0
Rubus oldhamii Miq. 줄딸기 0
Rubus parvifolius L. 멍석딸기 0 0 0 0 0
Sanguisorba officinalis L. 오이풀 0 0 0 0 0 0
Spiraea chinensis Maxim. 당조팝나무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Spiraea pubescens Turcz. 아구장나무 0 0
Spiraea trichocarpa Nakai 갈기조팝나무 0 0 0 0
Stephanandra incisa (Thunb.) Zabel 국수나무 0 0 0
Leguminosae 콩과
Indigofera kirilowii Maxim. ex Palib. 땅비싸리 0 0 0 0 0 0 0
Lespedeza bicolor Turcz. 싸리 0 0 0 0 0 0 0 0 0 0 0 0 0 0
Lespedeza cyrtobotrya Miq. 참싸리 0
Lespedeza maximowiczii C.K.Schneid. 조록싸리 0 0 0 0
Pueraria lobata (Willd.) Ohwi 칡 0
Robinia pseudoacacia L. 아까시나무 0 0 0 0
Vicia unijuga A.Braun 나비나물 0
Euphorbiaceae 대극과
Euphorbia pekinensis Rupr. 대극 0 0 0 0 0 0 0 0 0 0 0 0 0 0
Securinega suffruticosa (Pall.) Rehder 광대싸리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Rutaceae 운향과
Dictamnus dasycarpus Turcz. 백선 0 0 0 0 0 0 0 0 0 0 0 0 0
Zanthoxylum schinifolium Siebold & Zucc. 산초나무 0 0 0 0 0 0 0 0
Simaroubaceae 소태나무과
Picrasma quassioides (D.Don) Benn. 소태나무 0 0 0 0 0 0 0 0
Anacardiaceae 옻나무과
Rhus javanica L. 붉나무 0 0 0 0 0 0 0 0 0 0 0 0
Aceraceae 단풍나무과
Acer pictum subsp. mono (Maxim.) Ohashi 고로쇠나무 0
Acer tataricum subsp. ginnala (Maxim.) Wesm. 신나무 0 0 0 0 0
Celastraceae 노박덩굴과
Celastrus orbiculatus Thunb. 노박덩굴 0 0 0 0 0 0 0 0 0 0 0 0 0
Euonymus alatus (Thunb.) Siebold 화살나무 0 0
Euonymus alatus f. ciliatodentatus (Franch. & Sav.) Hiyama 회잎나무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Staphyleaceae 고추나무과
Staphylea bumalda DC. 고추나무 0
Buxaceae 회양목과
Buxus koreana Nakai ex Chung & al. 회양목 0 0 0 0 0 0 0 0 0 0 0 0
Rhamnaceae 갈매나무과
Rhamnus ussuriensis J.Vass 참갈매나무 0
Rhamnus yoshinoi Makino 짝자래나무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Vitaceae 포도과
Ampelopsis brevipedunculata (Maxim.) Trautv. 개머루 0 0 0 0 0
Parthenocissus tricuspidata (Siebold & Zucc.) Planch. 담쟁이덩굴 0 0
Violaceae 제비꽃과
Viola acuminata Ledeb. 졸방제비꽃 0
Viola collina Besser 둥근털제비꽃 0 0 0 0
Viola hirtipes S.Moore 흰털제비꽃 0
Viola keiskei Miq. 잔털제비꽃 0
Viola mirabilis L. 넓은잎제비꽃 CR 0
Viola phalacrocarpa Maxim. 털제비꽃 0
Viola rossii Hemsl. 고깔제비꽃 0
Viola variegata Fisch. ex Link 알록제비꽃 0 0 0 0 0 0 0 0 0
Viola variegata var. chinensis Bunge 자주알록제비꽃 0 0
Viola verecunda A.Gray 콩제비꽃 0
Alangiaceae 박쥐나무과
Alangium platanifolium var. trilobum (Miq.) Ohwi 박쥐나무 0
Cornaceae 층층나무과
Cornus walteri F.T.Wangerin 말채나무 0
Araliaceae 두릅나무과
Eleutherococcus sessiliflorus (Rupr. & Maxim.) S.Y.Hu 오갈피나무 0
Kalopanax septemlobus (Thunb.) Koidz. 음나무 0
Umbelliferae 산형과
Cymopterus melanotilingia (H.Boissieu) C.Y.Yoon 큰참나물 0
Sillaphyton podagraria (H.Boissieu) Pimenov 덕우기름나물 0 0 0 0 0
Primulaceae 앵초과
Lysimachia clethroides Duby 큰까치수염 0
Symplocaceae 노린재나무과
Symplocos chinensis f. pilosa (Nakai) Ohwi 노린재나무 0 0
Oleaceae 물푸레나무과
Fraxinus rhynchophylla Hance 물푸레나무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Ligustrum obtusifolium Siebold & Zucc. 쥐똥나무 0 0 0 0 0 0 0 0 0 0 0
Gentianaceae 용담과
Gentiana squarrosa Ledeb. 구슬붕이 0
Asclepiadaceae 박주가리과
Cynanchum atratum Bunge 백미꽃 0
Metaplexis japonica (Thunb.) Makino 박주가리 0 0
Rubiaceae 꼭두서니과
Galium kinuta Nakai & Hara 민둥갈퀴 0 0 0 0 0 0 0 0 0 0 0
Galium verum var. asiaticum Nakai 솔나물 0 0 0
Rubia akane Nakai 꼭두서니 0 0
Rubia chinensis Regel & Maack 큰꼭두서니 0
Rubia cordifolia var. pratensis Maxim. 갈퀴꼭두서니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Boraginaceae 지치과
Lithospermum erythrorhizon Siebold & Zucc. 지치 LC 0 0
Labiatae 꿀풀과
Agastache rugosa (Fisch. & Mey.) Kuntze 배초향 0 0 0
Isodon inflexus (Thunb.) Kudo 산박하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Meehania urticifolia (Miq.) Makino 벌깨덩굴 0 0 0 0
Prunella vulgaris var. lilacina Nakai 꿀풀 0
Caprifoliaceae 인동과
Zabelia biflora (Turcz.) Makino 털댕강나무 0 0 0 0 0 0 0 0 0 0 0 0
Zabelia tyaihyonii (Nakai) Hisauti & H.Hara 댕강나무 EN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Lonicera japonica Thunb. 인동덩굴 0 0 0
Lonicera praeflorens Batalin 올괴불나무 0 0 0
Lonicera subsessilis Rehder 청괴불나무 0 0
Viburnum carlesii Hemsl. 분꽃나무 0 0 0 0 0 0 0 0 0 0
Weigela florida (Bunge) A.DC. 붉은병꽃나무 0 0 0
Valerianaceae 마타리과
Patrinia scabiosaefolia Fisch. ex Trevir. 마타리 0 0
Compositae 국화과
Ainsliaea acerifolia Sch.Bip. 단풍취 0
Artemisia capillaris Thunb. 사철쑥 0
Artemisia gmelini Weber ex Stechm. 더위지기 0 0 0 0 0 0 0 0 0 0 0 0
Artemisia princeps Pamp. 쑥 0 0 0
Aster ageratoides Turcz. 까실쑥부쟁이 0 0 0 0 0
Aster pilosus Willd. 미국쑥부쟁이 0
Aster scaber Thunb. 참취 0 0
Atractylodes ovata (Thunb.) DC. 삽주 0 0
Crepidiastrum denticulatum (Houtt.) Pak & Kawano 이고들빼기 0 0 0 0 0 0 0
Crepidiastrum sonchifolium (Bunge) Pak & Kawano 고들빼기 0 0 0 0 0 0
Dendranthema zawadskii var. latilobum (Maxim.) Kitam. 구절초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Leibnitzia anandria (L.) Turcz. 솜나물 0 0 0 0 0 0 0
Rhaponticum uniflorum (L.) DC. 뻐꾹채 0 0 0 0 0 0 0 0 0 0 0 0 0 0
Liliaceae 백합과
Allium macrostemon Bunge 산달래 0
Allium thunbergii G.Don 산부추 0
Asparagus oligoclonos Maxim. 방울비짜루 0 0 0 0 0 0 0 0
Convallaria keiskei Miq. 은방울꽃 0 0
Disporum smilacinum A.Gray 애기나리 0
Disporum viridescens (Maxim.) Nakai 큰애기나리 0
Hemerocallis hakuunensis Nakai 백운산원추리 0 0 0 0
Lilium amabile Palib. 털중나리 0 0 0 0 0 0 0 0
Lilium lancifolium Thunb. 참나리 0 0
Polygonatum lasianthum Maxim. 죽대 0
Polygonatum odoratum var. pluriflorum (Miq.) Ohwi 둥굴레 0 0 0 0 0 0 0 0 0 0 0 0
Smilax sieboldii Miq. 청가시덩굴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Dioscoreaceae 마과
Dioscorea nipponica Makino 부채마 0 0 0
Iridaceae 붓꽃과
Iris rossii Baker 각시붓꽃 0 0 0 0
Gramineae 벼과
Arundinella hirta (Thunb.) Koidz. 새 0 0 0 0
Calamagrostis arundinacea (L.) Roth 실새풀 0 0 0 0 0 0 0 0 0 0 0 0 0
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 (Andersson) Rendle 억새 0 0 0 0 0 0
Oplismenus undulatifolius (Ard.) P.Beauv. 주름조개풀 0
Spodipogon sibiricus Trin. 큰기름새 0 0 0 0 0 0 0 0 0
Themeda triandra var. japonica (Willd.) Makino 솔새 0 0 0 0 0 0 0 0
Cyperaceae 사초과
Carex humilis var. nana (H.Lév. & Vaniot) Ohwi 가는잎그늘사초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Carex lanceolata Boott 그늘사초 0 0 0 0 0 0 0 0
Carex siderosticta Hance 대사초 0
Carex ussuriensis Kom. 싸라기사초 0 0
Download Excel Ta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