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st Read Articles
Most read articles are listed by the number of read for the previous three months.

Analysis of Recent Trends in Research on the Effects of Forest Healing Programs on Humans in Korea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한 국내연구의 동향 분석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한 국내연구의 동향 분석
J. Korean Soc. For. Sci. 2022;111(4):651-666.
https://doi.org/10.14578/jkfs.2022.111.4.651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535
https://doi.org/10.14578/jkfs.2022.111.4.651

Effect of Biochar Treatment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Q. variabilis for the Restoration of Post-fire Forest Areas
산불피해지 복원을 위한 바이오차 처리가 굴참나무 묘목 생육에 미치는 영향
산불피해지 복원을 위한 바이오차 처리가 굴참나무 묘목 생육에 미치는 영향
J. Korean Soc. For. Sci. 2023;112(3):290-302.
https://doi.org/10.14578/jkfs.2023.112.3.290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518
https://doi.org/10.14578/jkfs.2023.112.3.290

Development of a Forest Ecological Sensitivity Scale for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Forest Education Programs
산림교육 프로그램 효과성 평가를 위한 산림생태감수성 척도 개발
산림교육 프로그램 효과성 평가를 위한 산림생태감수성 척도 개발
J. Korean Soc. For. Sci. 2022;111(3):450-460.
https://doi.org/10.14578/jkfs.2022.111.3.450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465
https://doi.org/10.14578/jkfs.2022.111.3.450

Analysis of Changes in Tree Height–Diameter Allometry for Major Tree Species in South Korea
우리나라 주요 수종의 수고-직경 상대생장 변화 분석
우리나라 주요 수종의 수고-직경 상대생장 변화 분석
J. Korean Soc. For. Sci. 2023;112(1):71-82.
https://doi.org/10.14578/jkfs.2023.112.1.71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326
https://doi.org/10.14578/jkfs.2023.112.1.71
Economic Feasibility of Using Forest Biomass as a Local Energy Source
산림바이오매스의 지역 에너지 이용의 경제성 분석
산림바이오매스의 지역 에너지 이용의 경제성 분석
J. Korean Soc. For. Sci. 2022;111(1):177-185.
https://doi.org/10.14578/jkfs.2022.111.1.177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301
https://doi.org/10.14578/jkfs.2022.111.1.177

Future Prospects of Forest Type Change Determined from National Forest Inventory Time-series Data
시계열 국가산림자원조사 자료를 이용한 전국 산림의 임상 변화 특성 분석과 미래 전망
시계열 국가산림자원조사 자료를 이용한 전국 산림의 임상 변화 특성 분석과 미래 전망
J. Korean Soc. For. Sci. 2022;111(4):461-472.
https://doi.org/10.14578/jkfs.2022.111.4.461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288
https://doi.org/10.14578/jkfs.2022.111.4.461

The 1:5,000 Forest Soil Map: Curr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s
1:5,000 산림입지토양도의 제작과 활용 및 향후 발전 방향
1:5,000 산림입지토양도의 제작과 활용 및 향후 발전 방향
J. Korean Soc. For. Sci. 2021;110(4):479-495.
https://doi.org/10.14578/jkfs.2021.110.4.479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286
https://doi.org/10.14578/jkfs.2021.110.4.479

Growth Curve Estimation of Stand Volume by Major Species and Forest Type on Actual Forest in Korea
주요 수종 및 임상별 현실림의 재적생장량 곡선 추정
주요 수종 및 임상별 현실림의 재적생장량 곡선 추정
J. Korean Soc. For. Sci. 2021;110(4):648-657.
https://doi.org/10.14578/jkfs.2021.110.4.648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260
https://doi.org/10.14578/jkfs.2021.110.4.648

A Study on Conditions for Facilitating Forest Carbon Projects for Greenhouse Gas Reduction: A Forest Management Project Case with Extended Rotation Age in Private Forests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산림탄소사업의 이행 가능 요건에 관한 연구: 사유림 벌기령 연장형 산림경영사업을 중심으로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산림탄소사업의 이행 가능 요건에 관한 연구: 사유림 벌기령 연장형 산림경영사업을 중심으로
J. Korean Soc. For. Sci. 2021;110(3):440-452.
https://doi.org/10.14578/jkfs.2021.110.3.440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248
https://doi.org/10.14578/jkfs.2021.110.3.440

Analysis of Tree Growth Characteristics by First and Second Thinning in Korean White Pine Plantations
잣나무 인공림의 1차 및 2차 간벌에 따른 입목생장 특성 분석
잣나무 인공림의 1차 및 2차 간벌에 따른 입목생장 특성 분석
J. Korean Soc. For. Sci. 2022;111(1):150-164.
https://doi.org/10.14578/jkfs.2022.111.1.150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246
https://doi.org/10.14578/jkfs.2022.111.1.150

Factors Affecting Disaster Victims’ Quality of Life: The Uljin and Samcheok Forest Fires
산불피해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울진·삼척 산불을 중심으로
산불피해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울진·삼척 산불을 중심으로
J. Korean Soc. For. Sci. 2023;112(1):105-116.
https://doi.org/10.14578/jkfs.2023.112.1.105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230
https://doi.org/10.14578/jkfs.2023.112.1.105

Detection of Site Environment and Estimation of Stand Yield in Mixed Forests Using National Forest Inventory
국가산림자원조사를 이용한 혼효림의 입지환경 탐색 및 임분수확량 추정
국가산림자원조사를 이용한 혼효림의 입지환경 탐색 및 임분수확량 추정
J. Korean Soc. For. Sci. 2023;112(1):83-92.
https://doi.org/10.14578/jkfs.2023.112.1.83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218
https://doi.org/10.14578/jkfs.2023.112.1.83

Phytosociological Vegetation Classification and Community Characteristics in Maruguem (the Ridge Line) Area of Mt. Jirisan (Yuksipryeong to Cheonwangbong), the Baekdudaegan
백두대간 지리산권역(육십령-천왕봉 구간) 마루금의 식물사회학적 유형분류 및 군집 특성
백두대간 지리산권역(육십령-천왕봉 구간) 마루금의 식물사회학적 유형분류 및 군집 특성
J. Korean Soc. For. Sci. 2022;111(1):19-35.
https://doi.org/10.14578/jkfs.2022.111.1.19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215
https://doi.org/10.14578/jkfs.2022.111.1.19

Physiological, Biochemical, and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Abies holophylla, Acer buergerianum,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variabilis under Elevated Particulate Matter
미세먼지 처리에 따른 전나무, 중국단풍, 소나무, 굴참나무의 생리·생화학적 반응 및 흡착 특성
미세먼지 처리에 따른 전나무, 중국단풍, 소나무, 굴참나무의 생리·생화학적 반응 및 흡착 특성
J. Korean Soc. For. Sci. 2023;112(1):57-70.
https://doi.org/10.14578/jkfs.2023.112.1.57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214
https://doi.org/10.14578/jkfs.2023.112.1.57

Review of Remote Sensing Technology for Forest Canopy Height Estimation and Suggestions for the Advancement of Korea’s Nationwide Canopy Height Map
원격탐사기반 임분고 추정 모델 개발 국내외 현황 고찰 및 제언
원격탐사기반 임분고 추정 모델 개발 국내외 현황 고찰 및 제언
J. Korean Soc. For. Sci. 2022;111(3):435-449.
https://doi.org/10.14578/jkfs.2022.111.3.435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213
https://doi.org/10.14578/jkfs.2022.111.3.435

Backpack- and UAV-based Laser Scanning Application for Estimating Overstory and Understory Biomass of Forest Stands
임분 상하층의 바이오매스 조사를 위한 백팩형 라이다와 드론 라이다의 적용성 평가
임분 상하층의 바이오매스 조사를 위한 백팩형 라이다와 드론 라이다의 적용성 평가
J. Korean Soc. For. Sci. 2023;112(3):363-373.
https://doi.org/10.14578/jkfs.2023.112.3.363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210
https://doi.org/10.14578/jkfs.2023.112.3.363

Vegetation Structure and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Forest Community along Elevation on Mt. Hallasan
제주도 남동사면의 산림식생구조와 해발고별 산림군집 및 개체군 분포 특성
제주도 남동사면의 산림식생구조와 해발고별 산림군집 및 개체군 분포 특성
J. Korean Soc. For. Sci. 2021;110(2):141-154.
https://doi.org/10.14578/jkfs.2021.110.2.141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208
https://doi.org/10.14578/jkfs.2021.110.2.141

An Analysis the Relationship between User Characteristics by Forest Welfare Facilities: Focusing on Correspondence Analysis
산림복지시설별 이용객 특성과의 관계 분석: 대응분석을 중심으로
산림복지시설별 이용객 특성과의 관계 분석: 대응분석을 중심으로
J. Korean Soc. For. Sci. 2024;113(1):1-13.
https://doi.org/10.14578/jkfs.2024.113.1.1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202
https://doi.org/10.14578/jkfs.2024.113.1.1

Effects of Compounds Isolated from an Ethanol Extract of the Sclerotium of Wolfiporia hoelen on Osteoblast Differentiation and Osteoclast Formation
복령 균핵의 에탄올 추출물에서 분리한 화합물의 조골세포 분화 촉진 및 파골세포 생성 억제 효과
복령 균핵의 에탄올 추출물에서 분리한 화합물의 조골세포 분화 촉진 및 파골세포 생성 억제 효과
J. Korean Soc. For. Sci. 2024;113(1):73-87.
https://doi.org/10.14578/jkfs.2024.113.1.73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199
https://doi.org/10.14578/jkfs.2024.113.1.73

Soil Depth Estimation and Prediction Model Correction for Mountain Slopes Using a Seismic Survey
탄성파 탐사를 활용한 산지사면 토심 추정 및 예측모델 보정
탄성파 탐사를 활용한 산지사면 토심 추정 및 예측모델 보정
J. Korean Soc. For. Sci. 2023;112(3):340-351.
https://doi.org/10.14578/jkfs.2023.112.3.340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196
https://doi.org/10.14578/jkfs.2023.112.3.3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