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호지역 지정에 따른 토지 소유주의 기회비용 분석: 강원도 오대산 지역을 중심으로
https://doi.org/10.14578/jkfs.2024.113.4.436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의 건조 스트레스 적응 메커니즘과 생리적·구조적·약리적 변화에 대한 연구
https://doi.org/10.14578/jkfs.2024.113.4.520

IPA를 이용한 전남지역의 민간 스마트 양묘 발전방안
https://doi.org/10.14578/jkfs.2024.113.4.470

산불피해지 복원을 위한 바이오차 처리가 굴참나무 묘목 생육에 미치는 영향
https://doi.org/10.14578/jkfs.2023.112.3.290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한 국내연구의 동향 분석
https://doi.org/10.14578/jkfs.2022.111.4.651

산림교육 프로그램 효과성 평가를 위한 산림생태감수성 척도 개발
https://doi.org/10.14578/jkfs.2022.111.3.450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publishes original articles, critical review articles, research notes reporting preliminary or tentative results, and discussion papers. Research articles, review articles and research notes are pre-reviewed. More extensive papers are published as monographs. The journal covers all aspects of forest research, both basic and applied subjects. The scope includes forest biology, silviculture, physiology and genetics, forest environment, wildlife, forest engineering, forest assessment, forest management, forest products, forestry-ralated social, economic, information and policy.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는 1960년 1월에 우리나라 산림과학 및 임업관련 학회 중 최초로 창립되어 우리나라의 산림과학과 임업 발전의 중심축이 되어 왔습니다. 오늘날 한국산림과학회는 산림행정기관, 연구기관, 임업단체, 기업 및 대학 등 160여개의 기관회원을 포함하여 900여명의 회원으로 구성된 모범적인 대형학회로서 면모를 굳혀가고 있습니다. 본 학회는 이러한 활동을 수행하는 일환으로 엄정한 심사를 거친 연구논문들을 1년에 4회 발간되는 한국산림과학회지와 Forest Science and Technology를 통하여 발표하고 있으며, 1년에 2회씩 학술발표회를 개최하여 각 분야별로 연구 결과를 발표하여 서로 정보를 교환하고 의견을 나눔으로서, 산림과학 및 임업 발전을 꾀하고 있습니다.